Spring 5

동시성(명시적 락)

명시적 락(Explicit Lock)앞서 synchronized를 사용할 때 멀티 서버 환경에서의 동시성 제어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서 나온 방법이 명시적 락이다. 애플리케이션 코드나 데이터베이스 쿼리에서 명확하게 락을 요청하여 특정 리소스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는 방식이다.아래는 대표적인 명시적 락의 종류이다. 하나씩 살펴보자낙관적 락(Optimistic Lock)비관적 락(Pessimistic Lock)네임드 락(Named Lock)낙관적 락(Optimistic Lock)낙관적 락은 어플리케이션 레벨에서 동시성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충돌이 발생할 것이라고 '낙관적'으로 가정하고, 실제로 충돌이 발생했을 때만 대응하는 방법이다.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변경이 드물게 발생하고, 충돌 가능성이 낮은 환경에서 유용한..

개발/spring boot 2025.02.12

[Spring] Quartz 도입기 2

Quartz 도입기 1Github Code : batch quartz demo 목표1편에서 정리한 내용 바탕으로 기능을 구성해보자. 최종적으로 구현할 스케줄러는 2개며 Listener도 추가해보고 여러가지를 해보도록 하자외부 서버에서 5분마다 새로운 상품 데이터 가져오는 배치 Job 실행5분 간격으로 등록 상품들 이상 서버로 전달하는 배치 Job 실행중요한 작업은 배치에서 처리 하기 때문에 사실 스케줄러는 크게 어려울게 없다.  Job 정의외부 서버에서 5분마다 새로운 상품 데이터 가져오는 배치 Job 실행@RequiredArgsConstructor@Slf4jpublic class FirstJob extends QuartzJobBean { //batch JobLauncher private final..

개발/spring boot 2024.11.21

[Spring] Quartz 도입기 1

처음 공부한 내용이라 틀린 부분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Github Code : batch quartz demo1 도입기기업 연계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아래와 같은 기능이 필요하게 됨5분 간격으로 상품 증분데이터를 받아와야 하는 기능상품 데이터의 이상치 검사를 위해서 받은 상품 데이터들을 하나의 배치 ID로 매핑해서 이상치 검사 서버로 보냄일정 주기로 동작(대충 스케줄링?)+ 데이터를 묶어서 처리(음...배치?)를 생각하게 됨대용량 수준까지는 아니지만 반복적인 작업을 처리하고 새로운 상품 데이터의 처리라는 점에서 작업 관리가 중요하다고 생각함Scheduling?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반복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도구특정 작업을 주기적 혹은 일정 시간이 지난 후에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효율적인 작..

개발/spring boot 2024.10.31

[Spring] IoC, DI

*구선생님과 김영한님의 스프링 핵심원리 기본편을 바탕으로 이해한 내용을 정리한 것입니다! 틀린 내용이 있다면 언제든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합니다!!!*IoC(Inversion of Control)란?Spring을 접하면 가장 먼저 접하는 단어라고 생각한다. 물론 처음 보는 사람은 절대로 한번에 이해하기 힘든 내용이기도 하다.(난 그랬다) 우선 직역을 하면 제어의 역전이라는 의미이다. 무엇에 대한 제어를 역전했다는 것인지 솔직히 와닿지는 않는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객체의 생성, 생명주기의 관리까지 모든 객체에 대한 제어권이 뒤바뀐 것을 의미한다. 그럼 IoC가 없다면?간단하다 제어의 역전의 반대라고 생각하면 된다! 객체의 생성, 생명주기 관리를 직접 관리하는 것이다.아래 코드가 그 예시이다./..

개발/spring boot 2024.04.24

[Spring]관심사의 분리

관심사의 분리란? 영한님의 설명에 의하면 쉽게 말하자면 자신이 맡은 역할과 책임에만 집중하며 객체를 생성하고 연결하는 역활과 실행하는 역할이 명확히 분리되어있는 것을 의미한다.. 애플리케이션을 공연이라 했을 때 인터페이스들을 배역이라고 가정하자. 이때 실제 배역에 맞는 배우를 선택하는 것을 누가할 것인가라고 봤을 때 각 배역을 맡은 배우들이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제 3자가 선택해주는 것이 맞다. 만약 로미오의 배역을 A라는 배우가 했을 때 줄리엣이라는 배역의 배우를 B 배우가 해야한다 라고 정해버리는 순간 A의 책임은 공연을 해야하는 책임에서 줄리엣의 배역까지 정해버리는 책임까지 가지게 된다. 다시 말해 OOP의 원칙 중 단일 책임의 원칙(SRP)을 위반하게 된다. 이를 위해 나온 것이 관심사의 분리이다..

개발/spring boot 2023.0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