냥덕

  • 홈
  • 태그
  • 방명록

IoC container 1

[Spring] IoC, DI

*구선생님과 김영한님의 스프링 핵심원리 기본편을 바탕으로 이해한 내용을 정리한 것입니다! 틀린 내용이 있다면 언제든 댓글로 알려주시면 감사합니다!!!*IoC(Inversion of Control)란?Spring을 접하면 가장 먼저 접하는 단어라고 생각한다. 물론 처음 보는 사람은 절대로 한번에 이해하기 힘든 내용이기도 하다.(난 그랬다) 우선 직역을 하면 제어의 역전이라는 의미이다. 무엇에 대한 제어를 역전했다는 것인지 솔직히 와닿지는 않는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객체의 생성, 생명주기의 관리까지 모든 객체에 대한 제어권이 뒤바뀐 것을 의미한다. 그럼 IoC가 없다면?간단하다 제어의 역전의 반대라고 생각하면 된다! 객체의 생성, 생명주기 관리를 직접 관리하는 것이다.아래 코드가 그 예시이다./..

개발/spring boot 2024.04.24
이전
1
다음
더보기
프로필사진

냥덕

고양이 좋아하는 개발자

Github

  • 분류 전체보기 (36)
    • 개발 (35)
      • spring boot (9)
      • java (8)
      • JPA (1)
      • PS (15)
      • AWS (0)
      • CS (1)
      • DB (1)
    • 먹방 (1)

Tag

Spring, 백준, 스프링, 추억점수, 감소하는수, repetable read, jvm, read uncommit, sereializable, 명시적락, quartz, Di, read commit, class load, java, 프로그래머스, 대충 만든 자판, 네임드락, 6236, 자바,

최근글과 인기글

  • 최근글
  • 인기글

최근댓글

공지사항

페이스북 트위터 플러그인

  • Facebook
  • Twitter

Archives

Calendar

«   2025/08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방문자수Total

  • Today :
  • Yesterday :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 Github

티스토리툴바